[論文] | ||
---|---|---|
윤정국 | 서울 암사동유적의 석기제작기술과 체계 | |
홍은경 | 한국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의 전⋅중기 편년 재고- 인천과 경기 지역의 새로운 자료를 중심으로 - | |
이홍종·김상훈 |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주거유적의 유형과 지형환경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김범철 | 남한 신석기-청동기시대 이행에 대한 맥락적 이해 | |
임상택 |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문화 변동과 외래 요소의 수용 방식 | |
김재윤 | 홍산문화(紅山文化)의 연구사 검토 -동산취 유적과 우하량 유적을 중심으로-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김영준 | 신석기시대 따비의 기술체계 -한강 유역을 중심으로- | |
이희진 | 고성 문암리 유적의 토양분석과 신석기시대 경작지에 대한 소고 | |
장은혜 | 아무르강 하류역의 출현기 토기 연구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신희창 | 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어로구 연구 -골각기를 중심으로- | |
최종휴 | 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석촉의 형식 분포와 변천 | |
김상훈 | 신석기시대 요동지역 압인문(壓印文)토기 검토 | |
이화종 | 세계유산의 완전성과 진정성을 고려한 서울 암사동 유적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암사초록길 검토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임상택 | 위기와 대응 -SNA를 활용한 한국 신석기시대 연구 경향 분석과 전망- | |
소상영 | 고성 문암리 유적 경작유구의 재검토 | |
김재윤 | 시베리아 선사시대 인간형상물의 변화에 대한 검토 | |
안덕임 | 연대도 패총 나지구의 패류 채집 양상에 관한 연구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박성진 | 신석기시대 적색토기의 양상과 의미 | |
김주희 | 신석기시대 출토 인골로 보는 사회상 | |
이소라 · 황철주 · 김성욱 · 최득준 |
울산 세죽 유적 토기로 본 조기의 편년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박근태 | 제주도와 남해안지역의 융기문토기 검토 | |
박성근 | 고산리유적 석기 검토 | |
임상택 | 동아시아 북부의 돌대일주 및 이중구연 토기와 정보 네트워크 | |
이동주 | 신석기시대 지두문토기에 대한 검토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박준철 | 신석기시대 남부지역 수가리1식 토기 연구 | |
김재윤 | 신석기시대 말기 남해안 고배형토기의 편년과 재지성 검토 | |
구자진 | 북한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의 발굴보고와 연구성과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이소라 | 오산리식토기 편년-오산리A지구의 층서를 중심으로- | |
김범철 | 가덕도(장항)유적의 사회적 생물고고학-신석기시대 매장관행에 대한 통합적 이해 시론-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소상영 | 제주 고산리 유적의 편년과 성격 - 방사성탄소연대와 유적 재검토를 중심으로 - | |
윤정국 | 한국 신석기시대 조기의 석기제작에 대한 연구 | |
김재선 | 중부서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주거와 취락구조의 변화 - 인천 영종도 지역을 중심으로 -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최득준 | 동해안지역의 중기 연속점열문토기에 대한 검토 | |
김재윤 | 5000B.P.이후 평저토기문화권 동부지역의 무덤으로 전용된 주거지에 대한 이해 | |
천성주 | 결합식조침을 이용한 어류포획 방법에 대한 초보적 검토 -신석기시대 남해안지역 패총 자료를 중심으로- | |
김건수 | 사평패총 출토 즐문토기 고찰 | |
배형곤 | 러시아 연해주 답사기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하인수 | 신석기-청동기 전환과정에 대한 제문제 | |
이은 | 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생업활동 연구 | |
윤정국 | 한반도 중동부지역 신석기시대 생계유형의 검토 | |
김재윤 | О НОВЫХ НАХОДКАХ РАННЕЙ КЕРАМИКИ В ПРИМОРЬЕ 연해주 리소보에-4 유적 고토기에 관해서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하재령 | 한반도 신석기시대 첨두형석기(尖頭形石器)의 시·공간적 검토 | |
임상택 | 한반도 신석기시대 복합수렵채집 사회 성격 시론 | |
조미순ㆍ강소희ㆍ신이슬 ㆍ서민석ㆍ이경아 |
중부 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식물자원 이용 연구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임상택 | 남부 내륙 지역 신석기시대 전기 토기 검토 - 영선동 양식 내륙 유형의 설정과 의미 - |
|
이혜원 | 한반도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중ㆍ후기 토기의 변화양상 | |
김 영 준ㆍ김 경 진ㆍ이 한 주 | 보령 송학리 조개더미 출토 뗀석기의 기술-기능적 연구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장은혜 |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조ㆍ전기토기 전환과정 연구 | |
한창균ㆍ구자진ㆍ김근완 | 대천리 신석기유적 탄화곡물의 연대와 그 의미 | |
이희진 | 지질고고학적 연구에 기초한 농경 초현기 경작 방식의 검토 - 중국과 근동 및 중ㆍ북부유럽을 중심으로 - |
|
조미순ㆍ조은하 신이슬ㆍ서민석 小畑弘己ㆍ이경아 |
토기 압흔법을 활용한 중부 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식물자원 이용 연구 - 고성 문암리유적, 양양 오산리·송전리유적을 중심으로 -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김건수 | 민족지고고학의 적용과 한계 | |
박지훈ㆍ박윤정ㆍ조미순 | 화분분석으로 본 고성 문암리 유적의 신석기시대 중기 이후 식생변천 및 농경활동 |
|
안승모 | 서기전 6-5천년기 한반도 남해안과 양쯔강 하류역의 생업 비교 | |
이상규 | 신석기시대 한반도 해안지역 작살에 관한 검토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구자진 |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마을의 운용방식 연구 | |
조미순ㆍ박윤정ㆍ좌용주 | 고성 문암리유적 출토 석기의 원산지 추정 | |
이동주 | 울산 세죽유적 일대에서 확인되는 해수면 상승흔적과 그 성격에 대하여 | |
신숙정 | 신석기개념과 토기의 발생에 관한 최근의 논의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배성혁 | 신석기시대 후기 토기요 연구 - 김천 지좌리 토기요지를 중심으로 | |
小畑 弘己 | 동삼동패총·비봉리유적 출토 기장·조 압흔의 동정과 그 기준 | |
이영덕 | 중서부 해안지역의 어로 양상과 동인 | |
하인수 | 신南部地域 櫛文土器의 樣式과 型式 문제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임상택 | 동·남해안 지역의 신석기시대 조기 토기 양식 | |
황철주 | 한반도 동·남해안지역 융기문토기 편년에 대한 검토 | |
송은숙 | 영선동식토기문화의 성립과 전개과정 | |
구자진 | 大田 屯山 新石器遺蹟의 再檢討 | |
[硏究資料] | ||
김건수 | 소복기도 출토 즐문토기 고찰 | |
고재원 | 제주 종달리 패총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송현경 | 신석기시대 남부지역 후·말기 이중구연토기의 전개과정 | |
하인수 | 반구대 암각화의 조성시기론 - 동삼동패총 자료를 중심으로 | |
소상영 | 신석기시대 중서부해안 및 도서지역 어로문화연구 | |
金殷暎 | 신석기시대 동삼동 지역의 생계 전략 변동에 대하여 | |
姜奉遠 | 盤龜臺 岩刻畵에 表出된 陸地動物의 再認識 - 動物飼育 問題와 編年의 再檢討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古澤義久 | 신석기시대 중기~만기 한일토기문화교류의 특질 | |
최문정 | 영남지역 신석기시대 후기 토기의 지역성 검토 | |
윤정국 | 남부내륙지역 신석기시대 석기의 변천과 양상 | |
이동주 | 남부지역의 최근 자료를 통해 본 신석기시대의 연구현황과 과제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소상영 | Holocene 자연환경과 한반도 중서부 신석기시대 유적의 입지변화 | |
박근태 | 제주도 신석기시대 석기 검토 | |
김건수 | 쿠로시오(黑海)와 남해안지방 신석기문화 | |
崔得俊 | 韓半島 新石器時代 紡錘車에 대한 小考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김재윤 | 연해주와 동해안지역의 신석기토기문화 비교 | |
김영준 | 대동강유역 신석기시대 무문양토기 연구 | |
천선행 | 신석기시대 후말기 이중구연토기 형성과정 재검토 | |
김헌석 | 대포패총출토 인골의 연대와 식성에 관해서 | |
홍은경 | 암사동 유적 신석기시대 토기의 시문기법 | |
[自料紹介] | ||
이승윤 | 여서도패총 출토 결합식조침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임상택 | 신석기시대 남부지역 소형 발형 토기 연구 | |
이승윤 | 岩寺洞式土器와 水佳里I式土器 | |
김진희 | 신석기시대 집자리의 복원 및 실험 | |
[飜譯] | ||
김성욱 | 토기 압흔 레프리카법 작업의 길라잡이 | |
[遺蹟紹介] | ||
박현정 | 김천 지좌리 신석기시대 유적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河仁秀 | 동삼동패총 문화에 관한 시론 | |
이동주 | 동삼동유적에서 확인된 환경변동의 흔적과 그 성격 | |
다나카 소이치 | 동삼동패총 출토 즐문계토기와 그 의미 | |
최종혁 | 동삼동 패총인의 생업 | |
구자진 | 서·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조개더미 유적의 집자리 의미 | |
이상균 | 신석기시대 일본열도의 통나무배로 본 한반도 통나무 배 연구의 예찰 | |
[遺蹟 調査 事例] | ||
이남석ㆍ이현숙 | 계룡면 용동리 신석기시대 주거지 | |
정의도 | 부산 천가동 신석기시대 유적 조사 개요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岡田憲一·河仁秀 | 한반도 南部 終末期 櫛文土器와 繩文土器의 年代的 병행관계 검토
- 東三洞貝塚 출토 繩文土器를 중심으로 - |
|
윤정국 | 신석기시대 굴지구의 제작기법에 대한 연구 - 진안 진그늘유적과 갈머리유적을 대상으로 - |
|
安在晧 | 新石器時代 前·中期의 礫石間層에 대하여 | |
[飜譯] | ||
Batarshev S.V.ㆍ김재윤 | 연해주의 신석기시대 베트카 유형 분리 - Moreva O.L. | |
[遺蹟 調査 事例] | ||
김선주ㆍ차미애ㆍ복민영 | 영월 삼옥리유적의 바위그늘(岩陰)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강창화ㆍ김종찬 | 제주도 신석기문화 연구의 성과와 전망 | |
김성욱 | 사용흔분석을 통한 신석기시대 수확구 시론 | |
김은영 譯 | 보이스만문화의 토기(보이스만2유적 출토 유물에 기초하여) | |
[遺蹟 및 資料] | ||
윤온식 | 여수 안도패총 발굴조사 | |
이상복 | 인천 운서동유적 발굴조사 중간보고 - 신석기유적을 중심으로 - | |
양인철ㆍ이경하 | 인천 중산동유적 발굴조사 중간보고 | |
박근태 | 제주 강정동유적 조사 개보 - 서귀포 체육시설(축구장) 조성부지내 - | |
유병일ㆍ임동재ㆍ정숙희 | 거제 이수도패총 유물소개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신숙정 | 중서부지역 신석기문화 연구의 성과와 전망 | |
박준범 | 신석기시대 서울·경기·인천지역 출토 간석기에 대한 연구 | |
임학종 | 신석기시대의 무덤 | |
[資料紹介] | ||
김종찬 | 한남~서성로간 군도 확포장공사구간내 한남리유적 | |
유병일ㆍ이춘선ㆍ남연의 | 거제 대포패총 유물소개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김건수ㆍ이승윤 | 여서도패총 출토 신석기시대토기에 대한 고찰 | |
김영준 | 우리나라 중·서부지역의 신석기시대 무문양토기 연구 | |
신숙정 | 환동해지역 신석기시대의 문화와 사회교류 | |
[資料紹介] | ||
최봉균 | 公州 新官洞 新石器時代 主居址 | |
김대성 | 益山 熊浦里遺蹟 | |
방기영ㆍ여성민 | 경부고속도로(기흥-판교간)확장사업 부지내 용인 농서리유적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배성혁 | 신석기시대 취락의 공간구조 | |
김동숙 | 신석기시대의 흑색토와 식물교란흔 조사 사례 검토 | |
구자진 |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집자리의 지역권설정과 변화양상 | |
[資料紹介] | ||
유환성 |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신석기 유적 | |
고동순 | 양양 오산리유적 발굴조사 개보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河仁秀 | 末期 櫛文土器의 成立과 展開 | |
이헌종 | 동북아시아의 후기 구석기~선석기시대의 과도기의 해체과정과 통합의 제현상 | |
박준범 | 한강유역 출토 선사시대 간돌화살촉 연구 | |
김창호 | 한국 신석기시대 토착신앙 문제 | |
[資料紹介] | ||
박수영 | 고성 철통리 신석기시대유적 조사 개보 | |
鄭一 | 광주 효천2지구 주택건설부지내 광주 노대동유적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李東注 | 해수면 상승 흔적이 확인되는 동삼동유적의 성격에 대하여 | |
安承模 | 동아시아 정주취락과 농경 출현의 상관관계 | |
宋銀淑 | 중부 동해안의 전기 신석기문화와 연어 | |
具滋振 | 우리나라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연구 | |
河仁秀 | 新石器時代 骨角器의 樣相 | |
李永德 | 新石器時代 潛水작살의 可能性 | |
신숙정 | 강원 영서지방의 신석기문화 | |
金炳燮 | 密陽 살내 新石器遺蹟에 대한 檢討 | |
[資料紹介] | ||
김건수ㆍ이승윤 | 완도여서도 패총 | |
임상택ㆍ양시은 | 인천 삼목도 III 유적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安承模 | 韓國 南部地方 新石器時代 農耕 硏究의 現狀과 課題 | |
李炅娥 | 植物遺體에 基礎한 新石器時代 農耕에 대한 觀點의 再檢討 | |
宮本一夫 | 園耕과 繩文農耕 | |
崔鐘赫 | 한반도 남부지방 농경에 관한 연구 | |
上條信彦 | 선사시대의 제분 가공구 | |
최삼용 | 신석기시대의 뼈연모 제작기술 연구 | |
[資料] | ||
장명수 | 정선 덕천리 소골 출토 신석기유물에 대한 검토 | |
박준범 | 영월군 방절리 바위그늘 유적 출토 신석기시대 빗살무늬 토기에 대하여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具滋振 | 新石器時代 帶狀反復文土器에 대한 檢討 | |
김장석 | 신석기시대 경제 연구와 패총 | |
廣瀨雄一 | 對馬海峽을 사이에 둔 韓日新石器時代의 交流 | |
김승옥 | 중국 신석기시대 무덤에서 발견된 돼지 두개골의 사회경제적 의미와 성격 | |
[資料紹介] | ||
金惠珍 | 함안 도항리 출토 신석기시대 토기편의 의의 | |
김주용ㆍ고상모 안승모ㆍ이영덕 |
진안 갈머리·좌포리유적, 군산 노래섬패총 출토 석재의 암종감정을 위한 박편관찰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李永德 | 全南 南海岸과 濟州道 新石器土器의 接觸과 展開樣相 | |
이원준 | 러시아 아무르강 유역의 신석기문화(II) | |
김건수 | 貝塚 硏究 方法論 검토 | |
[資料紹介] | ||
林尙澤 | 양양 오산리 수습 융기문토기 | |
金宰佑 | 부산 태종대 진입도로 확장부지내 유적 발굴개요 | |
구자진 | 아산 풍기동유적 | |
최종혁 | 泗川 船津城公園 駐車場敷地 遺蹟 | |
[번역] | ||
水ノ江和同ㆍ 河仁秀譯 | 朝鮮海峽을 넘은 繩文時代 交流의 意義 - 말과 文化圈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宋銀淑 | 之字文土器의 發生 背景 | |
이원준 | 러시아 아무르강 유역의 신석기문화(I) | |
김종일 | 유럽의 농업기원과 농업 공동체의 확산 | |
河仁秀 | 東三洞貝塚文化에 대한 豫察 | |
[資料紹介] | ||
이영덕ㆍ강원종 | 순창 원촌유적의 신석기시대 유물 | |
고동순 | 강릉시 초당동 신석기시대 유적 조사 개보 | |
이헌종ㆍ하인수ㆍ김영훈 | 巨濟島 出土 新石器時代 新資料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李東注 | 빗살문土器 段階의 石器內容과 特徵 | |
金忠培 | 新石器時代 낚시바늘 硏究(II) | |
[分析] | ||
高橋豊ㆍ河仁秀ㆍ小畑弘己 | 螢光X線分析에 의한 東三洞·凡方遺跡 出土 黑曜石 産地推定 | |
[資料紹介] | ||
金大聖 | 鎭安 佐浦里遺蹟 收拾 櫛文土器 | |
[海外遺蹟紹介] | ||
李相均 | 日本 對馬島의 繩文遺蹟 |
[特輯 : 岩寺洞遺蹟의 編年] | ||
---|---|---|
金壯錫 | 中西部 新石器時代 編年에 대한 批判的 檢討 | |
林尙澤 | 中部地域 新石器時代 相對編年을 둘러싼 問題 | |
李東注 | 岩寺洞遺蹟의 編年의 새로운 視點 - 西海岸 빗살문토기의 發生過程과 關聯하여 | |
河仁秀 | 瀛仙洞式土器와 岩寺洞式土器 | |
[論文] | ||
金忠培 | 新石器時代 낚시바늘 硏究(I) | |
[發掘槪報] | ||
朴玧貞 | '02 高城 文岩里 先史遺蹟 發掘調査 |
[論文] | ||
---|---|---|
李俊貞 | 貝殼 資料分析에 대한 方法論的 考察 | |
安承摸 | 金灘里Ⅰ式土器의 再檢討 | |
[遺蹟 및 資料] | ||
金碩勳 | 仁川市 江華郡 席毛島의 조개더미遺蹟 調査槪報 | |
김충배ㆍ정나리 | 江華島 如此里 遺蹟의 櫛文土器 | |
李民錫 | 南原 大谷里 新石器時代 遺蹟과 遺物 |
한국신석기학회 | 신석기 연구 소식 | |
---|---|---|
[論文] | ||
이준정 | 가도 패총 신석기·청동기 시대 생계양식의 변화상 | |
소상영 | 고남리 패총 유적의 성격 - B-3호 패총을 중심으로 | |
양성혁 | 중서부지방 신석기시대 편년 재검토 | |
[分析] | ||
안승모ㆍ유혜선 | 진안 갈머리 집석유구에 대한 잔존지방산 분석 | |
한창균ㆍ김근완ㆍ전일용 구자진ㆍ허문회ㆍ김정희 |
옥천 대천리 유적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발굴 성과 | |
[發掘槪報] | ||
이종훈 | 소연평도 신석기 패총 발굴조사 | |
하인수 | 범방유적 발굴개요 | |
오연숙 | 제주 온평리유적 발굴조사 개보 |
임상택 | 빗살무늬토기문화의 지역적 전개 - 중서부지역과 영동지역을 대상으로 | |
---|---|---|
이동주 | 중동부 해안지역 빗살문토기문화의 성격 -남해안지역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|
|
임상택 | 중서부 신석기시대 석기에 대한 초보적 검토 I -석기조성을 중심으로 | |
이영덕 | 부안 대항리패총의 검토 | |
佐藤達夫/이상균 역 | 조선유문토기의 변천 | |
이상균 | 한국 신석기연구 관련 일본 문헌목록 |
이상규 | 동북아시아 신석기시대 어로문화 변동과정 |
---|
임효재 | [특별강연] |
---|---|
정징원 | [특별강연] |
신숙정 | [기조강연] 고고학과 환경연구 – 선사시대를 중심으로 |
박정재 | 한반도의 홀로세 기후변화와 고대 사회 변동 |
장은혜 | 플라이스토세 후기-홀로세 초기의 기후 변동과 토기 문화 |
소상영 | 홀로세 온난기와 신석기시대 조·전기 사회 변화 |
김은영 | 신석기시대 후·말기 사회 변동과 고기후 |
이상규 · 박가영 | 신석기시대 기후변화와 어로변화 |
김범철 | 신석기~청동기시대 전환과정과 기후 변화 |
하영중 | 신석기시대 조기 물질문화 교류 -죽변리유적 유물 중심으로- |
---|---|
이동곤 | 진안지역 청동기시대 분묘의 형성 |
김호원 | 청주 오송 신석기시대 주거지의 시공간적 위치 연구 |
최규진 | 경주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인구변동 |
배형곤 | 신석기시대 한반도 자돌어업 연구 |
이정은 | 청동기시대 중기 적색마연토기 연구 |
김상훈 | 서북한 지역 신석기시대 후기 토기의 시공적 위치 재검토 - 뇌문토기를 중심으로 |
---|---|
이상규 | 한반도 북부지역 생업변화상 검토 - 어로양상을 중심으로 |
김은영 | 한반도 중서부 지역의 신석기시대 중-후기 생계 체계 변동에 대하여 - 경기만 패총 자료를 중심으로 |
구자진 | 중부지역 신석기시대 후기 빗살무늬토기의 양상과 특징 - 경기 ·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|
최득준 | 한반도 신석기시대 후·말기 생업 양상 -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|
송현경 | 남부지역 후·말기 토기의 지역성 검토 |
박근태 | 제주도 신석기시대 후·만기 토기의 양상과 특징 |
板倉有大 | 近年の九州繩文時代硏究動向 |
---|---|
임상택 | 한국 신석기시대 연구의 최근 동향 |
川口雅之 | 春日堀遺蹟における繩文時代早期の調査槪要 |
김기룡 · 이화종 | 2016년~2018년 서울 암사동 유적 발굴조사 성과와 전망 – 유적형성과정을 중심으로 |
後藤一重 | 大分県豊後高田市岩鼻岩陰遺蹟の調査 |
최득준 | 화성 쌍송리 신석기시대 유적 |
宮地聡一郞 | 第12回日韓新石器時代硏究會の記錄 |
정연주 | 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조기 토기 편년과 양식의 변용과정 |
---|---|
박성진 | 신석기시대 적색토기에 대한 검토 |
매튜 콘테 | 한반도 중서부지역의 즐문토기 문화 확산과 이동성의 변화 - 취락 점유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|
김주희 | 가덕도 장항유적 출토 신석기시대 인골 연구 |
강창화 | 제주 고산리유적의 위상과 가치 |
---|---|
고재원 | 토기 출현기의 제주 고산리식토기 |
박근태 | 제주도와 남해안지역 융기문토기 |
박성근 | 제주 고산리유적 석기 검토 |
최종혁 |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 생업연구 - 제주도와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|
임효재 | 한국 신석기 문화연구 전망 |
---|---|
안덕임 | 오이도패총의 고환경 연구 |
김은영 | 생계 체계 연구 - 신석기시대 패총을 중심으로 |
양성혁 | 오이도패총 유적 출토 빗살무늬토기의 다양성과 그 의미 |
박준범 | 오이도유적의 보존과 활용 |
이소라 | 오산리식토기 편년에 대한 검토 - 오산리A지구의 층서를 중심으로 |
---|---|
박준철 | 신석기시대 남부지역 수가리1식토기 연구 |
정철 | 신석기시대 남부지역 흑요석제 석기 연구 |
신희창 | 신석기시대 남해안지역 골각기 연구 |
권오영 | 보물 제597호 토기 융기문 발의 비파괴 조사와 보존처리 |
한창균 | 초기 북한 신석기 고고학의 성립과정 – 해방 이후~1950년대의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|
---|---|
김재윤 | 신암리 유적을 중심으로 한 압록강 유역의 신석기유적 편년 |
김은영 | 동북지역 신석기시대 침선문계 토기 연구 – 서포항패총을 중심으로 |
박성근 | 신석기시대 북한지역 석기 연구 |
구자진 | 북한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의 발굴과 그 의미 |
Huibung BI | The change of Comb pattern in Northeast China |
---|---|
O.L.Moreva | The change of Comb pattern in far east in Russia |
Danaka SOICHI | The change of Comb pattern in Kyushu China in Japan |
홍은경 | 서울 암사동 유적의 빗살무늬토기의 장식문양 연구 |
구자진 | 한국 서해안지역의 장식문양과 변천 |
최종혁 | 한국 남해안지역의 빗살무늬토기의 장식문양과 변천 |
배성혁 | 빗살무늬토기 제작과 소성 |
이상목 | 빗살무늬토기 문양의 상징과 의미 |
황철주 | 최근 울진 죽변리 신석기시대 유적의 발굴성과 |
---|---|
小畑弘己・ 豊永結花里・ 尾上博一 |
対馬越高遺跡の発掘調査と隆起文土器 |
김기룡 · 신의주 · 이상현 · 배기동 |
서울 암사동 유적 |
横手浩二郎・ 平屋大介・ 宮田大之 |
南九州における縄文時代後期前半の集落 - 鹿児島県鹿屋市小牧遺跡の紹介 |
최희진 | 광양 신금리 의암유적 |
최대용 | 동삼동패총 토기의 시문기법 편년 |
---|---|
신가화 | 부산 장항유적 출토 신석기시대 전기 토기의 전환 양상 연구 |
하재령 | 한반도 신석기시대 첨두형석기의 시·공간적 검토 |
이상규 | 요동지역 신석기시대 어로구에 관한 검토 |
김재선 | 중부 서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주거와 취락구조의 변화 |
신숙정 | 고산리유적 – 연구 성과와 가치 |
---|---|
임재수 | 동북아시아 후빙기 자연환경과 고산리지역의 환경 복원 |
김명진 | 고산리유적 퇴적층과 목탄 분석을 통한 유적 형성과정과 점유 시기 |
왕리신 | 중국 초기신석기 최근 연구 성과 (중국 남부지역 포함) |
고바야시 겐이치 | 일본의 초창기 주거 연구 |
방문배 | 고산리유적 유구의 성격과 정착 가능성에 대한 검토 |
니콜라이 클류예프 | 러시아 연해주지역 신석기초기 최근 조사 성과와 고토기 연구 |
강창화 | 고산리식 토기와 동북아시아 고토기와의 관계 |
조남철 | 고산리유적 석재분석을 통한 석재 이용양상과 원산지 추정 |
소상영 | 고산리유적 출토 토기의 자연과학 분석을 통한 제작 기술과 사용 연대 추정 |
박근태 | 고산리유적 석기 조성과 생업 |
타나카 소이치 | 동아시아 신석기시대 연구로 바라본 제주도 고산리유적의 위상 |
이한용 | 외국사례를 통해 본 문화유적의 보존과 활용 |
박경훈 | 고산리유적의 보존과 활용 |
김재윤 | 연해주 및 두만강 유역 일대의 신석기시대 특수 주거지와 그 의미에 대한 검토 – 평저토기문화권의 동부와 서부지역 비교고찰을 위해서 |
---|---|
김상훈 | 요동반도 및 압록강 유역과 서북한 지역의 신석기시대 토기 편년 재검토 |
古澤義久 | 生業関連道具からみた東北アジア新石器時代文化 |
O.L.Moreva | Керамика бойсманской культуры. Исследования неолита Приморья в 2012-2016 гг. |
황철주 | 한반도 신석기시대 ‘두립문’의 상징에 대한 시론 – 울진 죽변리유적을 중심으로 |
---|---|
천성주 | 결합식조침을 이용한 어류 포획방법에 대한 초보적인 검토 – 신석기시대 남해안지역 패총 자료를 중심으로 |
이은 | 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생업활동 연구 – 패총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|
지영배 | 무덤자료를 통해 본 한반도 조·전기 신석기시대 사회상에 관한 검토 |
안승모 | 한국 신석기시대 연구의 최근 성과와 과제 |
---|---|
소상영 | 한국 신석기시대 환경과 문화변동 |
김헌석 | 신석기시대 출토 동물유체의 연구 성과와 향후의 방향성 |
이경아 | 신석기시대 식물자원 활용연구 성과와 과제 |
양성혁 | 신석기시대 토기 연구 성과와 과제 |
윤정국 | 신석기시대 석기․골각기의 연구 현황과 과제 |
구자진 |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마을의 연구 성과와 과제 |
지현병 | 양양 지경리 유적 발굴조사의 성과와 의의 |
---|---|
이수진 | 중동부지역의 중기 토기와 편년 |
조미순 · 강소희 · 신이슬 |
중부 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식물자원 이용 연구 |
윤정국 | 중동부지역 신석기시대 석기와 생업 |
신동민 | 중동부지역 신석기시대 취락 |
구자진 | 중부내륙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마을 |
---|---|
소상영 | 경기도 신석기시대 환경과 생업 |
이혜원 | 한반도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의 토기와 편년 |
강세호 | 임진강 유역의 신석기시대 취락유적 |
宮地聡一郎 | 近年の九州縄文時代研究動向 |
---|---|
소상영 | 최근 한국 신석기시대 연구동향 – 2013~2014년을 중심으로 |
桒畑光博 | 宮崎県王子山遺跡における縄文時代草創期遺構群の調査 |
김경중 · 강세호 | 파주 대능리유적 발굴조사 성과 |
福永修一 | 鹿児島県牧野遺跡の調査 - 縄文時代草創期~早期を対象に |
박근태 | 제주도 고산리유적 발굴조사 (2차) |
山野ケン陽次郎 | 熊本大学構内遺跡の発掘調査 - 縄文時代後期を対象に |
소상영 | 방사성탄소연대 분석을 통해 본 신석기시대 연대 |
---|---|
황재훈 | 방사성탄소연대 분석을 통해 본 청동기시대 조기(전기)의 연대 |
이창희 | 방사성탄소연대 분석을 통해 본 청동기시대 중기~후기의 연대 |
박근태 | 한국 신석기시대 초창기, 조기단계의 편년 및 병행관계 검토 |
---|---|
古澤義久 | 한국 서북지방과 중서부지방 편년의 병행관계 |
김은영 | 신석기시대 전기의 중부지역과 남부지역의 병행관계 |
이동주 | 한국 남부지역과 중서부지역의 신석기 말기 토기의 양상과 전개 |
소상영 | 14C연대 분석을 통해 본 한국 신석기시대 편년 |
김상훈 | 중국 동북 커얼친 지역 신석기시대 문화 편년 |
박근태 | 신석기시대 석기의 용어와 분류 |
---|---|
윤정국 | 신석기시대 석기의 제작수법 |
소상영 | 시도패총의 재검토 |
---|---|
이영덕 | 안도'가'패총 검토 |
박성근 | 후포리유적 재검토 |
박근태 | 제주 삼화지구 유적 검토 |
고재원 | 유물로 본 제주도 고산리문화 |
---|---|
工藤雄一郎 | 縄文時代のはじまりと環境変動 |
김재윤 | 아무르강 하류와 연해주의 신석기 초창기 토기 |
大坪志子 | 縄文時代早期~前期の石製裝身具 |
장은혜 |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조ㆍ전기토기 전환과정에 대한 검토 |
今村結記 | 南九州の縄文時代草創期~早期の様相 |
방문배 | 고산리유적 발굴조사의 성과와 의의 |
副島和明 · 古澤義久 · 川道 寬 |
夫婦石遺跡1993年調査區出土資料 |
이수진 | 삼척 증산동유적 |
柳田裕三 | 史跡福井洞窟の發掘調査速報 |
이영덕 | 북한지역 토기형식 사용례 검토 |
---|---|
소상영 | 중서부지역 토기형식 사용례 검토 |
하인수 | 남부지역 토기의 형식과 양식문제 |
정우진 | 중서부지역 단사선문양에 대한 연구 |
---|---|
이영덕 | 신석기시대 중서부 해안지역의 토기와 어로 |
유지인 | 신석기시대 중·후기 중서부해안지역 취락의 석기조성 양상 |
소상영 | 14C연대측정치의 고고학적 활용방안 검토 |
이한주 · 김형훈 | 보령 송학리 패총 |
조미순 · 엄경은 · 조은하 · 이정희 |
강원 고성 문암리유적 발굴조사 |
방문배 | 제주 고산리 유적 |
홍은경 |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토기의 문양과 시문방식 |
---|---|
송은숙 |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토기의 문양과 시문방식 |
임상택 | 신석기시대 토기문양 '구성' 또는 '배치' 관련 용어의 검토 |
구자진 | 신석기시대 토기의 기종 분류에 대하여 |
박근태 | 신석기시대 초창기 단계의 문화양상 |
---|---|
하인수 | 남해안지역 융기문토기의 편년 |
고동순 | 동해안지방의 오산리식토기와 융기문토기의 층위 검토 |
임상택 |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 상대편년의 종합과 병행관계 |
구자진 | 중부서해안지역 신석기시대 마을의 변화와 의미 |
안승모 | 동아시아 조·기장 기원연구의 최근 동향 |
최종혁 | 남부지방 중기 생업문화에 대한 연구 |
이동주 | 남한지역 말기 즐문토기의 양상과 전개 |
김은영 | 신석기시대 동삼동 지역의 생계 전략 변동에 대한 소고 - 동삼동 패총 정화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|
---|---|
하인수 · 小畑弘己 · 真邉彩 |
동삼동패총 즐문토기 압흔분석과 곡물 |
이영덕 | 남해 서부지역의 패총 검토 |
김건수 · 백명선 | 광양 오사리 돈탁패총의 성격 |
소상영 | 신석기시대 중부서해안지역 어로문화연구 |
김재현 | 가덕도 장항유적 신석기시대 인골에 대한 소견 |
小畑弘己 ・ 真邉彩 | 最近の植物考古学の成果からみた日韓初期農耕問題 |
---|---|
이동주 | 신석기시대 남부지역의 최근 연구현황과 발굴성과 |
古澤義久 | 新石器時代中期~晩期における日韓土器文化交流の特質 - 東北アジアにおける異系統土器文化接触の比較 |
구자진 |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취락의 연구현황과 발굴성과 |
倉元慎平 | 曽畑式土器出現過程に関する研究 ‐ 西唐津式編年を中心として |
김상현 | 부산 가덕도패총 발굴조사 개보 |
塩地潤一 | 横尾貝塚の発掘調査で分かった縄文時代の集落景観 |
이영덕 | 여수 경도 패총 발굴조사 개보 |
宇土靖之・ 大坪芳典 | 島原市小原下遺跡の調査報告 - 縄文時代後期の集落様相 |
강창화 | 제주도지역 신석기유적의 발굴성과 |
하인수 | 신석기시대 석기연구 현황과 과제 |
---|---|
곽진선 | 서해안지역 석기 조합양상과 시기별 변화양상 - 군산 노래섬유적 출토품을 중심으로 |
이정재 | 동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석기의 검토를 통한 생업의 변화 - 오산리 C유적 출토 석기를 중심으로 |
윤정국 | 남부내륙지역 신석기시대 석기의 제양상 |
안성희 | 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석기조성과 시기별 양상 |
박근태 | 제주도 신석기시대 석기 검토 - 초기 유적을 중심으로 |
고동순 | 양양 오산리 C지구 조기문화층 출토 적색마연토기에 대한 검토 |
---|---|
하인수 | 동·남해안 융기문토기의 검토 |
이수진 | 동해안지역의 주거와 취락 |
김재윤 | 연해주와 동해안지역의 신석기토기문화 비교 |
하영중 | 동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석기 검토 - 울진 죽변리 유적 출토 석기를 중심으로 |
고민정 · 김춘영 · 이나영 · 이정은 |
진주 평거 4지구(Ⅰ구역) 신석기시대 유적 |
김지현 · 지영배 · 김민정 |
울산 처용리 유적 |
노재헌 · 민지현 · 김동규 |
제주 삼양동 유적 발굴조사 개보 |
라재숙 | 울진 죽변리 유적 |
신숙정 | 동삼동 발굴 80주년의 회고 : 橫山將三郞과 L. L. Sample |
---|---|
임학종 | 동삼동패총의 발굴과 성과 |
하인수 | 동삼동패총 문화에 관한 시론 |
이동주 | 동삼동패총의 환경과 해수면 변동 |
구자진 | 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조개더미 유적의 집자리 검토 |
최종혁 | 동삼동패총인의 생업 |
田中聰一 | 동삼동패총 출토 繩文系土器와 그 의미 |
신종환 | 패총의 보존과 활용 |
김건수 | 해협을 둘러싼 신석기시대 어민 |
---|---|
甲元眞之 | 東北アジア先史漁撈民と農耕 |
이영덕 | 신석기시대 잠수어로 검토 |
中尾篤志 | 九州地方の繩文時代漁撈具 |
최종혁 | 한반도 남부지방 신석기문화 |
石丸惠美子 | 海産物の流通および交流硏究への新しい視覺 |
양인철 · 조훈희 | 인천 중산동유적 발굴조사 성과보고 |
秋成雅博 | 宮崎縣淸武上猪ノ原遺跡の發掘調査 |
고동순 | 동해안 오산리 C지구 최하층유적의 조사성과 |
藤本貴仁 | 熊本縣轟貝塚․曾畑貝塚の調査 |
矢野健一 | 第7回日韓新石器時代硏究會に參加して |
宮地聰一郞 | 第7回日韓新石器時代硏究會の記錄 |
김건수 | 쿠로시오와 신석기문화 |
---|---|
강창화 | 제주 고산리 신석기문화의 형성과 전개 |
김성욱 | 사용흔분석을 통한 신석기시대 수확구 시론 |
하인수 | 남해안지역 중기즐문토기 사회의 동향 |
윤온식 | 여수 안도패총 발굴조사 |
양인철 · 이경하 | 인천 중산동 유적 발굴조사 중간보고 |
공민규 · 이상복 | 인천 운서동유적 발굴조사 중간보고 |
박근태 | 제주 강정동유적 |
신숙정 | 한국 신석기문화 연구의 성과와 전망 |
---|---|
임상택 |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 상대편년 형성과정 |
구자진 | 중부 서해안지역의 신석기시대 집자리와 마을 |
김충배 | 서해 중부 도서지역 신석기시대 어로문화의 성격 |
양성혁 | 암사동식 토기의 편년적 위치에 대한 재검토 |
박준범 |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의 생업활동 |
김은영 |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자원이용 전략 |
홍성수 | 시흥 능곡동유적 |
이종안 | 안산 신길동유적 |
구자진 | 한반도 신석기시대 주거지의 구조와 변화양상 |
---|---|
高橋信武 | 九州における縄文時代集落の様相 |
배성혁 | 신석기시대 취락의 공간배치구조 |
林 潤也 | 九州における縄文時代竪穴住居の変遷 |
임상택 | 한반도 신석기시대 취락 운용방식의 일단 – 중서부 이남 빗살무늬토기문화기를 중심으로 |
前迫亮一 | 鹿児島市前原遺跡の発掘調査報告 |
고동순 | 양양 오산리유적 도로확장구역 발굴성과 |
池田朋生 | 熊本市石の本遺跡群の調査について |
이상걸・이종안 | 안산 신길동유적 발굴조사 중간보고 |
안승모 | 남부지방 농경·정주의 출현과 사회변화 |
---|---|
하인수 | 신석기시대 골각기의 양상 |
송은숙 | 동해안 신석기시대인의 연어잡이 |
김병섭 | 밀양 살내 신석기시대 유적의 검토 |
구자진 |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의 특징과 전개양상 |
이영덕 | 한반도 서남해안 지역의 신석기시대 어로구 |
김건수 · 이승윤 | 완도 여서도패총 |
이동주 | 동삼동 매립지 및 도로확장구간 발굴조사 개요 |
임상택 · 양시은 | 인천 삼목도Ⅲ유적 |
안승모 | 한반도 남부지방 신석기시대 농경 연구의 현상과 과제 |
---|---|
山崎純男 | 西日本繩文農耕論 |
이경아 | 식물유체에 기초한 신석기시대 ‘농경’에 대한 관점의 재검토 |
宮本一夫 | 園耕と繩文農耕 |
최종혁 | 한국 남부지방 농경에 대한 연구 - 석기조성을 중심으로 |
條信彦 | 先史時代の製粉加工具 - 韓半島と北部九州を中心として |
임학종 | 창녕 비봉리 유적 발굴조사 개요 |
熊代昌之 | 正福寺遺跡弟7次調査槪要報告 |
김문철 | 사천 선진리 유적 |
西田巖 | 佐賀縣佐賀市東名(ひがしみょう)貝塚 |
박준범 | 영월 방절리유적 |
---|---|
장명수 | 정선 소골유적 주변의 신석기유적 |
홍현선 | 단양 상시 3그늘유적에 대하여 |
신숙정 | 단양 금굴 및 제천 점말 동굴유적 |
우종윤 | 충주 조동리유적 |
최삼용 | 영월 쌍굴의 문화 |
양성혁 | 춘천 교동유적의 재검토 |
서길덕 | 남양주 호평유적 |
강순석 | 제주도 자연환경과 신석기인 |
---|---|
오연숙 | 제주도 신석기유적과 유물 |
이영덕 | 남해안지역과 제주도 신석기토기의 비교 |
최종혁 | 신석기시대 남부지방 생업에 대한 연구 |
고재원 | 러시아 그로마투하유적 발굴조사 중간보고 |
임학종 | 창녕 비봉리유적 발굴조사 |
한창균 · 김근완 · 구자진 |
대천리 신석기유적의 집자리 구조와 특징 |
---|---|
김석훈 | 황해 중부 도서지역의 신석기시대 화덕자리와 제염유적에 대한 연구 |
김영준 | 우리나라 중·서부지역 신석기시대 민무늬토기 연구 |
강창화 · 오연숙 | 아무르강 노보페트로프카유적 발굴조사 약보 |
임상택 | 인천 삼목도유적 발굴조사 |
하인수 | 동삼동, 범방유적 출토 흑요석 산지 분석 |
小畑弘己 · 水ノ江和同 |
鈴桶技法とその意義 |
---|---|
박윤정 | 고성 문암리유적 |
中村愿 | 沖繩縣北谷町伊禮原(いれいばる)C遺跡 |
이상균 | 한반도 남해안 석기군의 양상 |
敦賀啓一郞 | 九州における繩文時代各期の石器群 |
고동순 | 양양 지경리유적의 재검토 |
村川逸郞 | 長崎縣平戶市供養川(くようがわ)遺跡․田平町つぐめのはな遺跡 |
이동주 | 즐목문토기단계(중기)의 석기조성과 특징 |
하인수 | 영선동식토기와 암사동식토기 |
---|---|
김장석 | 중서부 신석기시대 편년에 대한 비판적 검토 - 암사동의 연대와 관련하여 |
임상택 | 중서부 신석기시대 상대편년을 둘러싼 문제 |
이동주 | 암사동유적의 편년 - 서해안 빗살문토기의 발생과정을 중심으로 |
소상영 | 고남리 패총 유적의 성격 |
---|---|
양성혁 | 중서부지방 신석기시대 편년 재검토 |
이준정 | 중부 서해안 지역의 신석기 · 청동기시대 생계 양식의 변화 |
유혜선 · 안승모 | 안 갈머리 유적 집석유구 토양에 대한 잔존지방산 분석 |
이종훈 | 소연편도 신석기 패총 발굴조사 |
하인수 | 범방패총 발굴개요 |
오연숙 · 강창화 | 제천 온평리유적 발굴조사 개보 |
한남대학교 | 옥천 대천리 유적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발굴 성과 |
최종혁 | 생업활동으로 본 한반도 신석기문화 – 중서부지방과 동북지방의 패총유적을 중심으로 |
---|---|
石黑直隆 · 南川雅男 · 松井章 · 本鄕一美 |
流球(沖繩)先史文化におけるブタの移入と系譜 |
김건수 | 군산 노래섬패총 식료자원의 계절성 파악 |
富岡直人 | 動物遺體出土遺跡の形成過程分析 |
안덕임 · 이인성 | 산소동위원소분석을 이용한 대죽리패총 조개채집의 계절성 연구 |
中川穀人 | 微小貝からみた海洋植物利用 |
하인수 | 동삼동패총 1호주거지 출토 식물유체 |
帆足俊文 | 熊本縣阿高貝塚の調査 |
배성혁 | 경북 김천송죽리 신석기유적 |
池田祐司 | 福罔縣大原D遺蹟の調査 |
임상택 | 군산 가도패총 |
古門雅高 | 長崎縣佐賀貝塚の調査 |
고동순 | 양양 지경리 유적의 생활영역 |
---|---|
임상택 | 빗살무늬토기문화의 지역적 전개 - 중서부지역과 강원영동지역을 중심으로 |
이동주 | 동해안지역과 남해안지역의 빗살문토기 문화 |
임상택 |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석기에 대한 초보적 검토 |
---|---|
이영덕 | 노래섬 ‘가’지구패총 즐문토기 고찰 |
강창화 · 오연숙 | 제주지역 신석기문화 연구(I) - 토기문양과 그 변천을 중심으로 |
下山覺 | 南部九州の火山災害と繩文遺迹 - 考古學から |
---|---|
西中川駿 | 九州の繩文遺跡出土の動物遺体 - 特に鹿兒島の哺乳類遺体を中心に |
山崎純南 | 東アジア新石器時代の擦切技法 |
임효재 | 최근 한국의 신석기유적 발굴성과 |
田中聽一 | 韓半島 · 東北部の新石器時代土器 |
이동주 | 한국 즐목문토기의 발생과 전개에 대하여 |
하인수 | 부산 동삼동패총의 조사와 의의 |
임효재 | 양양 오산리 신석기유적의 역사유적공원으로서의 활용 |
---|---|
한영희 | 서울 암사동 신석기유적과 선사유적공원으로서의 활용방안 |
최무장 | 프랑스 고고유적의 사적공원 조성예를 중심으로 |
方殿春 | 중국 사해 신석기유적과 선사유적 공원의 조성 |
西谷正 | 일본 사적공원의 현황과 활용실태 |
Nicholas James | Site Museums in England |
고재원 | 제주도 고산리유적 출토 타제석기의 형태적 분석 |
---|---|
송은숙 | 영남 내륙지역 신석기문화의 특징 |
하인수 | 영선동식토기 소론 |
水ノ江和同 | 北九州における繩文草創期~早期前半期の樣相 |
正林讓 | 長崎顯五島列島出土の韓國新石器時代赤色塗彩土器について |
임효재 | 동아시아에 있어서 오산리유적의 중요성 |
---|---|
윤근일 | 양양 가평리 신석기유적에 대하여 |
方殿春 | 중국 사해유적의 신석기문화 |
Brodianski | 연해주 보이스만 유적의 신석기문화 |
村越潔 | 산나이마루야마 신석기유적 발굴에 대하여 |
宮本一夫 | 오산리유적과 일본 승문시대 |
Nelson | Archaeological Parks and the Korean Neolithic |
김익준 | 울산 융기문토기유적 발굴성과 |
---|---|
윤근일 | 양양 가평리 선사주거지 |
임효재 · 최종택 | 서해안 삼목도 신석기유적 발굴 중간보고 |
임효재 | 동아시아 속의 오산리 유적의 위치 |
---|---|
백홍기 | 동해안 선사문화의 특성 |
三浦奎介 | 동아시아 속의 산나이마루야마 유적의 위치 |
松浦宥一郞 | 신석기시대의 일본과 주변과의 문화교류 |
신종환 | 금강식토기에 대한 소고 |
---|---|
최종택 | 미사리 신석기시대문화의 양상과 변천 |
이동주 | 한·일신석기문화의 관련성 재검토 |
池田朋生 | 轟C,D式の再檢討 |
田島龍太 | 德藏谷遺蹟について |
이청규 | 고산리 유적과 석기유물 |
---|---|
임효재 | 한일 문화교류사의 새로운 발굴자료 |
江坡輝爾 · 小林謙一 |
日本上黑岩遺蹟出土草創期土器 |
新井房夫 | 韓半と濟州島から確認される九州起源廣域Tephras |